안녕하세요 벌써 날씨가 겨울이 온듯 추워지네요 ㅎㅎ
겨울잠바 뭘 사야할지 인터넷 매일 검색중..
오늘은 이사를 한다면 꼭 해야하는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.
저 또한 결혼을 하기전엔 20살때부터 자취생활을 오래 하면서
이사도 8번정도 한것 같은데요
그때마다 전입신고 때문에 동사무소 많이 들락거렸네요^^
오늘은 손쉽게 인터넷 정부24로 쉽게 하는 방법을 알려드릴텐데
필요한 준비물은 개인 공인인증서입니다 ( 범용 아니어도 상관 없음 )
그전에 전입신고의 중요성과 안하면 생기는 불이익에 대해 잠시 풀어볼까 해요.
첫번째로 전세보증금 , 월세보증금 보호의 목적입니다.
만약 전입신고를 안하게 된다면 , 세들어 살고있는 집주인의 사정으로 인해 경매로 집이 넘어갈 경우엔... 내가 냈던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확률이 높답니다. 정말 끔찍하겠죠 ㅠㅠ
전입신고가 되어있다면, 집주인에게 월세 나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을 받았을 경우
거주하고 있으면 임차권 등기 명령 실행 대항권 가능하다고 합니다.
자가 주택인 경우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는데, 전세 월세로 거주하는 경우 해당될테니 꼭 알아두세요
두번째로, 전입신고를 안하면 초등학교 배정이 이전 주소지 기준으로 배정된다는 사실.
특히나 보통 아이들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 많이들 이사하는걸로 알고있는데요.
신고를 빨리 안할경우 엄청나게 복잡해지겠죠.. 이사하신날 바로 하시는것을 추천드려요
●신청기간●
이사 후 14일 이내로 신청해야 합니다.
더 늦어지거나 허위로 등록할 경우에는 과태료를 물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
괜한 돈 나가면 열받겠죠~~? 이사 하셨다면 후딱 신청하세요^^
신청시에 전입 인지 전출인지 확실하게 구분하세요
많이들 헷갈려 하셔서 실수 많이 하는 부분이라고 하네요.
보증금 보호를 위해서는 이사하는 날 바로 하시는 것을 권장 또 권장드립니다
자 그럼 정부24에서 신청하는 법을 알아볼게요
준비물 : 개인 공인인증서
이사한 사람이 신청해야 하며 전입신고 신청 후 처리상태(반려, 취소, 시스템 장애 등)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확인방법: 정부24(www.gov.kr) -> my gov -> 나의 신청내역 또는 관할 주민센터 문의
정부 24의 메인화면에서 가운데 보시면 검색창이 보입니다.
거기에 전입신고를 조회해주세요
그럼 바로 아래에 전입신고 라고 바로갈수있게 뜬답니다.
클릭해보시면 신청서비스 - 전입신고라는 칸이 있죠? 신청을 눌러줍니다.
로그인을 할지 비회원으로 진행할지 나오는데요
비회원으로도 신청이 가능하기때문에 굳이 로그인을 위해 회원가입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저는 비회원으로 진행하였습니다.
앞에 * 붙은 항목은 무조건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전입신고는 총 3단계로 이루어져 있어요
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.
저는 결혼으로 인한 사유를 선택해주었어요
제 주소는 소중하기에 가려주었구요
조회시에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.
자동으로 전에 살던곳 주소와 세대주 목록이 뜬답니다.
저는 현재 살고있는곳이 뜨기 때문에, 아래에 보면 배우자(신청인)에 제가 있어요
다 확인이 되었으면 이제 새로 살 곳의 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사실 컴퓨터를 조금만 다루실 줄 아는 분이라면 굉장히 쉬운 작업이랍니다.
정부24어플로도 같은 경로로 해서 신청이 가능해요.
혹시라도 아직 컴퓨터 다루는게 쉽지 않은 분들은 가까운 동사무소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.
●주민센터(동사무소.읍사무소)방문으로 신청하기 (요즘은 행정복지센터라고 많이들 바뀜)
세대주:신분증,부동산계약서원본(계약서는 지역마다 다르다 하는데, 미리 방문하실 주민센터에 전화로 확인하시거나 다시 되돌아올일이 생길수 있으니 지참하세요)
세대원:세대원 및 세대주 신분증, 세대주 도장, 부동산 계약서 원본
(제삼자의 대리인은 모든 서류를 가지고 오더라도 신고가 안됩니다)
신청을 다 하시면 확정일자 확인까지 꼭 해주세요
●확정일자?
임대차 계약 날짜를 확인해주는, 법원이나 동사무소에서 도장을찍어주는 날짜를 말합니다.
신청일 기준으로 보통 다음날 바로 적용됩니다.
정부24 링크도 바로 가기 넣어둘께요~~
정부24
www.gov.kr
'잡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t 핸드폰 명의 변경 방법 및 서류 skt , lg , 알뜰폰 (0) | 2020.11.11 |
---|---|
가장 가까운 민원 무인발급기 위치 쉽게 찾는 방법 (0) | 2020.10.25 |
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사후지급금 신청하기 (0) | 2020.10.23 |
코리아 크레딧 뷰로 (KCB) 쉽게 본인 인증하기 (0) | 2020.10.18 |
국세환급금 찾기 국세청 홈택스 간편조회하는 법 (0) | 2020.10.11 |
댓글